Windows Server 2003에서 Windows Server 2008로 버전이 올라가면서,,
"관리자를 위한 원격데스크톱 연결"에 두가지 큰 변화가 있습니다.

1. 최대 동시 접속자가 3명에서 2명으로 감소
 - WS03에서 mstsc -console (또는 -admin) 옵션을 사용할 경우
   로컬 콘솔까지 원격에서 접속할 수 있기 때문에,,
   최대 3명까지 원격 접속이 가능했습니다.
 - 그러나,, WS08에서는 최대 동시 접속자가 2명으로 제한됩니다.
   물론 Terminal Server 라이센스를 구매할 경우 늘어나겠지만요..

2. 한 User로 동시 접속이 안된다?
 - WS03에서 Administrator로 동시에 2명 또는 최대 3명까지 접속할 경우
   각각 별개의 Desktop 환경이 열렸습니다.
   기존에 접속해 있던 Session 이 끊기지는 않았죠..
 - 그러나,, WS08에서는 Administrator로 동시에 2명 이상이 접속을 시도할 경우
   기존 Session 이 끊겨 버립니다.
   WS08 기본 설정이 그렇게 되어 있기 때문이죠.
   변경을 위해서는,,
   start -> programs -> administrative tools -> terminal services
   -> terminal service configuration 에서,,,
   "restrict each user to a single session" 옵션을 NO 로 변경해 줍니다.
   그러면,, WS03 처럼,, Administrator로 여러개의 세션을 연결할 수 있습니다.
   (최대 2개지만요 !!!)

'Windo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즈 무료 백업 솔루션 ZConverter Windows Backup  (0) 2009.09.15
서류 가방 에러  (0) 2009.09.01
tasklist 로 실행 프로세스 확인  (0) 2009.07.01
Windows Command Line Scripts  (0) 2009.06.21
Remote Desktop 공유하기  (0) 2009.06.21
RedHat Enterprise Linux 또는 CentOS에서
vncserver를 실행할 경우,, 윈도우 매니저가 익숙치 않을 것입니다.
vnc에서 윈도우 매니저를 Gnome으로 시작하기 위해서는
아래와 같이 xstartup 스크립트를 수정합니다.
 
# cat ~/.vnc/xstartup
#!/bin/sh
. /etc/X11/xinit/xinitrc- common
/etc/X11/xinit/Xclients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dora CORE 설치 중 hpet 메시지에서 멈출 때..  (1) 2009.06.25
SSH Tunneling  (1) 2009.06.21
perl 스크립트를 원격지에서 실행하기  (0) 2009.06.21
리눅스 디렉토리 복제  (0) 2009.06.21
Linux on the PLAYSTATION 3  (1) 2009.06.21

####################################################################################################
# PBS install
####################################################################################################

# 소스 파일 압축 해제
[root@orion ~]# tar xvfz torque-2.3.0.tar.gz
# configure
# 옵션은 아래 싸이트 참고
#
http://www.clusterresources.com/torquedocs21/1.3advconfig.shtml#configoptions
#
[root@orion torque-2.3.0]# ./configure \
--enable-server --enable-clients \
--enable-docs --enable-mom \
--prefix=/usr/local \
--with-default-server=orion \
--with-scp

# compile
[root@orion torque-2.3.0]# make
# 설치
[root@orion torque-2.3.0]# make install


# 설치 후 torque (pbs) 서버 기본 설정
[root@orion torque-2.3.0]# ./torque.setup root
initializing TORQUE (admin:
root@orion.xxxx.ac.kr)
PBS_Server orion.xxxx.ac.kr: Create mode and server database exists,
do you wish to continue y/(n)?y
Max open servers: 4
Max open servers: 4


# pbs에서 사용할 노드 등록
# np=4, 각 노드에 4개의 cpu가 있음을 의미
[root@orion torque-2.3.0]# vi /var/spool/torque/server_priv/nodes
orion   np=4
node01  np=4
node02  np=4
node03  np=4

# pbs_mom은 실제 job을 수행할 compute node에서 구성
# orion (master) 노드에서도 job이 수행되므로 아래 파일 설정
# 자세한 설정은 아래 링크 참조
#
http://www.clusterresources.com/torquedocs21/a.cmomconfig.shtml
#
[root@orion torque-2.3.0]# vi /var/spool/torque/mom_priv/config
$pbsserver      orion
$logevent       255

# pbs server 지정
# job이 수행될 모든 노드에 설정
[root@orion torque-2.3.0]# vi /var/spool/torque/server_name
orion

# rebooting 이후 자동으로 실행되도록 설정
[root@orion sbin]# echo "/usr/local/sbin/pbs_mom" >> /etc/rc.d/rc.local
[root@orion sbin]# echo "/usr/local/sbin/pbs_server" >> /etc/rc.d/rc.local
[root@orion sbin]# echo "/usr/local/sbin/pbs_sched" >> /etc/rc.d/rc.local

####################################################################################################
# install torque on compute nodes
####################################################################################################
# compute 노드에 pbs client 설치 및 설정

# 먼저 orion (master) 노드에서 패키지를 생성
[root@orion torque-2.3.0]# make packages
# 생성된 패키지를 /data1 (NFS로 공유된 디렉토리)에 복사
[root@orion torque-2.3.0]# cp *.sh /data1

# 모든노드에 /data1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이용하여 설치
# 먼저 pbs_mom 설치
[root@orion ~]# psh compute '/data1/torque-package-mom-linux-x86_64.sh --install'
node01:
node01:       Installing TORQUE archive...
node01:
node01:       Done.
node02:
node02:       Installing TORQUE archive...
node02:
node02:       Done.
node03:
node03:       Installing TORQUE archive...
node03:
node03:       Done.
# 같은 과정으로 client, doc, devel 설치
[root@orion ~]# psh compute '/data1/torque-package-clients-linux-x86_64.sh --install'
[root@orion ~]# psh compute '/data1/torque-package-doc-linux-x86_64.sh --install'
[root@orion ~]# psh compute '/data1/torque-package-devel-linux-x86_64.sh --install'

# rebooting 이후 자동으로 pbs_mom 이 시작되도록 설정
[root@orion ~]# psh compute 'echo "/usr/local/sbin/pbs_mom" >> /etc/rc.d/rc.local'

# jobs이 실행될 수 있도록 pbs_mom 설정 변경
[root@orion sbin]# psh all 'echo "\$pbsserver orion" > /var/spool/torque/mom_priv/config'
[root@orion sbin]# psh all 'echo "\$logevent  255" >> /var/spool/torque/mom_priv/config'
[root@orion ~]# psh compute 'echo "orion" > /var/spool/torque/server_name'

# 설정을 마친 후 pbs_mom 시작
[root@orion ~]# psh compute '/usr/local/sbin/pbs_mom'

# pbs 정상 설정여부 확인

# 모든 노드에서 free 라고 올라와야 함
# down 이라고 표시되면, pbs_mom을 재시작해야 함
[root@orion ~]# pbsnodes -a

# pbs_mom 재시작 방법
[root@orion ~]# psh compute 'killall pbs_mom'
[root@orion ~]# psh compute 'pbs_mom'

####################################################################################################
# queue 테스트
####################################################################################################
#
# 일반 유저로 로그인해서
# job submit 테스트 수행
[user1@orion ~]$ echo "sleep 5" | qsub
[user1@orion ~]$ qstat

'Schedu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GE] Rocks 5.3 + mpich2  (0) 2010.08.07
[SGE] Grid Engine Administration – Training Slides  (0) 2010.07.13
[SGE] Parametric Job + Job Dependency  (0) 2009.06.21

Parametric Job + Job Dependency 입니다.
첨부파일을 열어보면,, 6개의 파일이 보입니다.


cpi.c cpi start.sh compute.sh end.sh sub.sh

 

파일 설명

cpi.c     : PI 계산 C Source, Interval 값을 인자로 입력받아 PI를 계산

cpi       : Compile binary 파일

start.sh  : 시작 스크립트, input parameter를 파일에 저장

compute.sh       : 계산 스크립트, input parameter를 읽어서 cpi 인자값으로 넘겨서 계산

end.sh   : 종료 스크립트, 임시 input 파일을 삭제

sub.sh   : 세개의 job을 제출하는 스크립트

주의 ::: 이 스크립트에서는 input parameter 4개라고 가정하였음, BASH 를 사용하였음.

 

실행방법

[user1@hnode01 ~]$ ./sub.sh

Your job 51 ("start") has been submitted

Your job-array 52.1-4:1 ("compute") has been submitted

Your job 53 ("end") has been submitted

 

[user1@hnode01 ~]$ qstat

job-ID  prior   name       user         state submit/start at     queue                          slots ja-task-ID

-----------------------------------------------------------------------------------------------------------------

     51 0.00000 start      user1       qw    12/24/2008 16:25:44                                    1       

     52 0.00000 compute    user1       hqw   12/24/2008 16:25:44                                    1 1-4:1

     53 0.00000 end        user1       hqw   12/24/2008 16:25:44                                    1

 

'Scheduler' 카테고리의 다른 글

[SGE] Rocks 5.3 + mpich2  (0) 2010.08.07
[SGE] Grid Engine Administration – Training Slides  (0) 2010.07.13
[PBS] Torque+Maui 스케쥴러 설치  (0) 2009.06.21

+ Recent posts